경남도의회의 행정사무감사로 촉발된 거창군내 학교급식 식자재 공급이 수의계약에서 입찰로 전환되면서 식자재 질 저하 우려가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경남도의회는 지난 1월 행정사무조사를 통해 ‘거창급식지원센터와 학교 간 수의계약은 법령 위반’이라고 지적했다.


이로 인해 거창군 내 1,000만 원 이상 식자재를 사용하는 모든 학교는 거창군이 설립한 학교급식지원센터를 통해 납품받지 못하고 입찰로 전환해야 한다.


이에, 군내 2개 학교는 지난 5월 말 입찰을 통해 함양의 한 업체가 학교급식 식자재 납품업체로 선정됐는데, 거창군내 두 학교 모두 이 업체로 부터 납품받고 있다.


그러나, 해당 업체가 납품한 식자재의 질이 기존의 거창급식지원센터 보다 현저히 떨어졌다는 지적이다.


익명을 요구한 학교급식 관계자에 따르면, 두 학교의 경우 학교급식지원센터에서 납품받을 때보다 품질이 떨어져 학생들에게 좋은 식단을 제공하기가 어렵게 됐다는 것이다.


특히, 한 학교 급식 관계자는 "일부 식자재의 경우 신선도가 떨어져 양심상 이같은 식자재를 학생들에게 먹여야 할 지 말아야 할 지 갈등으로 골머리가 아프다"고 토로한다.


거창급식지원센터가 운영할 때는 군내 전체 학교에 납품하는 관계로 박리다매 식 평균화된 양질의 식자재 공급이 가능했으나 학교별 입찰제의 경우 납품량이 소규모인데다 공급업체도 이윤을 남겨야 해 양질의 식자재 공급은 불가능하다는 지적이다.


7월 부터는 위 2개 학교에 이어 5개 학교가 추가로 입찰로 전환할 계획인데 모두 함량미달의 급식우려로 고민이 크다.


입찰 전환을 앞둔 한 고교 관계자는 “이윤을 목표로 하는 업체들이 입찰을 통해 식자재를 공급하기 때문에 거창급식지원센터에서 공급하던 품질과는 비교할 수 없으나 질적 차이가 심할 경우 학생들의 반발도 예상돼 걱정이다"고 했다.


학생수가 적어 월 1000만원 미만의 식자재를 사용하는 학교들은 현재 거창급식지원센터와 수의계약으로 납품받고 있어 사정이 좀 나은 편이나 하루 3식을 제공하는 거창고교나 대성고교의 경우는 금액이 2,000만원 이상이어서 입찰 납품 의무화로 부실식단이 크게 우려된다.


이에 거창군내 학교 영양사들은 학교급식지원센터를 통한 식자재 공급을 강력하게 요구하고 있다.


영양사 대표 A씨는 “지금의 학교급식은 아이들을 위한 양질의 식재료를 공급받느냐의 문제”라며 “입찰로 가면 업체가 챙겨야 하는 이윤때문에 거창에서 생산되는 양질의 식자재를 놔두고 외지의 싸구려 재료를 학생들에게 먹여야 하는 실정"이라고 했다.


특히, "진주나 창원 등 원거리에 소재한 업체에서 입찰을 받아 학교에 식자재를 납품할 경우는 물류비 까지 포함돼 양질의 식자재 공급은 더더욱 장담할 수 없다”며, “거창군과 학교급식지원센터를 운영하는 거창사과원협이 단순히 급식문제가 아니라 로컬푸드와 지역경제 등 포괄적인 차원에서 해결하는 방안을 모색해 주면 좋겠다”고 했다.


거창군의회도 식자재의 질 저하를 문제삼았다.
최근 거창군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새누리당 권재경 의원은 “학교급식지원센터에서 공급할 때는 아무 문제없이 우수한 농산물로 공급됐는데, 입찰로 하는 데는 확인해 보셨나?”고 물었다.


이에 학교급식지원센터 담당 과장은 “농산물의 경우 벌써 다른 지역에 있는 유통업체가 입찰에 낙찰되고 다듬어지지 않은 농산물, 식재료들이 들어오고 있고, 육즙이 빠진, 질이 나쁜 물건들이 들어오고 있다고 파악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이에 대해 급식연대 김태경 집행위원장은 “학교급식을 정상화시킬 수 있는 가장 확실하고 빠른 대안은 거창군이 직영하는 것”이라며 “학교급식지원센터 설립 초기처럼 거창군이 직영하고, 식자재 납품이 가능한 법인이 대행으로 들어오는 체계를 서둘러 구축해야 한다”고 했다.

 


거창인터넷뉴스원(gcinews1@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