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창군은 지난 7일 국민권익위원회에서 발표한 2016년 공공기관 청렴도 평가에서 전국 82개 군부 중 37위에 랭크됐다고 밝혔다. 2년 전 80위, 작년 67위에서 30계단 상승하면서 비록 하위권은 벗어났으나 아직 갈 길이 멀다고 판단, 꾸준한 청렴정책과 생활청렴이 필요하다고 자체 진단했다.
국민권익위원회가 발표한 2016년 공공기관 청렴도 평가 결과를 자세히 뜯어보면 거창군은 종합청렴도 7.67점으로 지난해 대비 0.45점 상승하면서 전국 평균을 약간 웃도는 수준이다. 지난해까지 내부청렴도에 비해 외부청렴도가 낮아 하위권에 머물렀으나, 올해는 5등급에서 3등급으로 오르며 청렴도 상승을 이끌었다.
군은 각종 공사, 용역, 물품 계약업무의 공정성과 투명성 확보를 위해 수의계약 금액을 1천만 원 이하로 하향 조정하고, 부서별 ‘청렴도 대책반’을 구성해 군 행정을 경험한 민원인의 불편사항 등을 부서장이 직접 모니터링하는 제도를 꾸준히 추진했다.
‘청렴식권제’를 도입해 업무관계자가 군청을 방문했을 때, 중식시간에 구내식당을 이용할 수 있게 해 음성적인 접대문화도 근절하는 분위기를 조성했다. 공직내부의 청렴도 향상을 위해 매일 업무 시작 전에 전체 직원 청렴상시학습을 진행해 청렴마인드를 생활화해 왔다.
14명의 민간인 명예감사관을 위촉해 현대판 ‘신문고’를 운영하면서, 현장의 문제를 즉시 해결하기도 했다. 지난 9월 28일 청탁금지법이 시행됨에 따라 청탁 및 금품수수 없는 청렴한 거창을 위해, 공직 안팎으로 홍보를 확대해 지역의 청렴문화를 뿌리내리는 노력도 해왔다.
양동인 군수는 “청렴도 전국 상위권 도약을 위한 발판을 마련한 만큼, 이제는 생활청렴이 뿌리내리도록 제도를 정비하고 공직자들의 정신무장에서 출발해서 바닥문화까지 침투하도록 고삐를 당겨나가겠다.”라고 뜻을 밝혔다.
한편 ‘2016년 공공기관 청렴도 평가’는 국민권익위원회가 606개 공공기관에 대한 청렴수준을 진단했으며, 부패취약 분야에 대한 자율적인 개선노력을 유도하기 위해 진행됐다.
지난해 7월부터 올해 6월까지 1년간 공공기관 업무를 경험한 민원인과 공직자를 대상으로 8월부터 11월까지 전화 및 온라인(스마트폰, 이메일)을 통해 면접과 설문을 병행했다. 조사 결과와 부패사건 발생현황 점수를 종합해, 공공기관의 청렴도를 평가한 결과다.
거창인터넷뉴스원(gcinews1@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