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현대사의 비극인 거창사건 희생자의 넋을 기리기 위한 제67주기 추모식이  4월 18일 오전 거창군 신원면 거창사건추모공원에서 열렸다.


 추모식에는 정부를 대표해 허만영 과거사지원단장을 비롯, 한경호 경남지사 권한대행, 양동인 거창군수, 김길영 유족회장과 기관단체장, 유족, 주민, 학생 등 1,300여명이 참석했다.


위령제는 거창군수, 군의회 의장, 유족회 회장으로 구성된 3명의 헌관이 집례에 따라 제례를 올렸으며,  추모식은 거창불교연합회와 거창여성유도회, 거창초등학교 관악단의 공연과 추모시 낭송, 위령의 노래 합창 등으로 진행됐다.


또, 추모공원에서는 초등학생 300여 명이 글짓기와 그림그리기 대회로 거창사건의 교훈을 되새기는 시간을 가졌다.


거창사건은 한국전쟁 중인 1951년 2월 거창군 신원면 일원에서 국군에 의해 719명의 양민이 통비(通匪)로 몰려 학살된 사건이다.


김길영 유족회장은 “억울하게 희생된 영령들의 한과 67년을 이어온 유족들의 고통을 생각해 거창사건 관련자 배상에 관한 법률을 조속히 제정해 달라.”라고 정부와 국회에 촉구했다.


양동인 거창군수는 “추모공원 국화 전시회, 역사알기 교육, 문예공모전과 학술토론회 등을 추진해 거창사건의 역사적 교훈인 평화와 인권의 가치를 알리기 위한 노력을 소홀히 하지 않겠다.”며 유족들을 위로했다.
 
또, 허만영 과거사지원단장은 행정안전부장관의 추모사 대독을 통해  “한반도의 해빙 분위기가 항구적인 평화체제로 이어져 다시는 이 땅에 전쟁의 비극이 재발되지 않기를 소망한다.”고 전했다.


한경호 도지사 권한대행은 “거창사건은 우리 현대사의 깊은 상처지만 역사를 제대로 평가하고 서로 화해하고 용서하는 것이 남아 있는 우리들의 몫”이라며, “다시는 전쟁으로 인한 인권유린이 되풀이 되지 않도록 후손들에게 올바른 나라사랑 정신을 심어주는 것이 우리들이 임무”라고 강조했다.


한편, 현 정부에서 과거사 피해자의 배ㆍ보상을 포함하는 과거사 문제 해결을 정부 100대 과제로 선정함에 따라 유족들의 배상법 제정에 대한 기대감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져 있는 만큼 정치권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거창인터넷뉴스원(gcinews1@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