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창군이 신재생 에너지 자립도시로 육성된다.
군은 미래 성장동력이 될 신재생에너지를 2020년에는 30%까지 보급 독일의 환경수도 프라이부르크에 버금가는 창조적 에너지 자립도시를 만들겠다는 정책방향을 제시했다.
이 정책 실현을 위해 거창군 에너지 자립도시 육성을 위한 종합계획을 경남발전연구원에 용역을 의뢰, 지난 1월 28일 최종보고회를 가져 그 윤각을 드러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까지 에너지 사용량 연평균 2.2% 증가를 전제로 월평균 39,015MW/h 전력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202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30% 보급을 위해서는 월평균 1만1704.4MW/h로 지금까지 거창군에서 보급한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3736.5MW/h를 제외하면 월평균 7967.7MW/h의 에너지를 생산해야 한다.
군은 이를 실현키 위해 다양한 사업을 구상중이다.
첫째, 소수력 발전소를 이용한 에너지 생산사업이다.
군은 북상면 심동마을에 에너지 자립마을 조성을 위해 민간사업자가 소수력 발전소를 만들어 시험운행 중인데, 이 소수력 발전소가 실행화되면 소수력이 가능한 마을에 연차적으로 보급하고, 본 사업과 연계해 신재생에너지 태양광, 태양열, 지열, 풍력 등을 보급해 에너지 제로마을을 조성해 나갈 방침이다.
둘째, 송정택지조성사업에 파시브하우스 건축과 빗물 재이용, 태양광, 태양열 등을 지원해 줄 수 있도록 조례를 제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에너지 제로하우스에 도전한다.
셋째, 생태공원 조성, 녹화사업으로 녹색공간을 조성하여 탄소량을 줄이고, 넷째, 자전거 이용문화 확대 등 에너지 실천운동으로 인간에너지를 늘리며, 다섯째, 주민이 일정금액을 출자하는 에너지 펀드를 개발해 민간 주도로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이같은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군은 지난 13일자 인사에서 에너지 자립도시 건설을 위해 경제과에 에너지 담당을 신설했다.
군 관계자는 "본 사업의 성공을 위해서는 모든 군민의 참여가 전제되어야 가능하다"며, "앞으로 범 군민 추진위원회를 구성, 각계각층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부서별 실행계획을 수립해여 최종 실행에 옮길 것"이라고 말했다.
또 "미래지향적인 행정이 현실을 반영하듯이 정부에서도 지난달 10일 전국적으로 정전대비 위기대응 훈련을 실시했고, 군은 국가적으로 전력의 어려운 시기를 기회로 활용하자며 각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열기를 한 등만 소등해도 에너지 자립도시로 가는 큰 밑거름이 될 것"이라며 다 같이 동참해 줄 것을 당부했다.
거창인터넷뉴스원(gcinews1@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