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토지주택공사(LH) 직원들의 개발 예정지 부동산 정보를 이용한 투기가 국민들의 공분을 사고 있는 가운데,  거창에서도 이와 비슷한 의혹이 제기돼 말썽이다.
 

거창군남여농민회는 3월 18일 오전 거창군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거창은 농지투기의 청정지역인가?
‘라는 제목아래 ’거창지역의 국책사업 및 개발사업의 과정에서 농지관련 투기의혹‘을 제기했다.


기자회견에 따르면 “먼저, 구체적인 지번이나 사람에 대해서는 이 자리에서 밝힐 수 없다며, 국책사업인 거창구치소 예정지에 미리 땅을 사 큰 이익을 본 예가 있다는데 항간에 떠도는 소문이 그저 소문이었으면 하는 바램으로 이 자리에 섰다.”며, “군민을 위해 봉사하려고 마음먹은 수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사욕을 위해서 농민이 아니면서도 농지를 투기목적으로 사들인 일이 없었으면 하는 바램이 간절하며, 허술한 농지법의 허점을 이용해 농지를 투기목적으로 사들이는 일은 앞으로 절대 일어나서는 안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항간에는 농지를 시세보다 더 비싸게 사들이는 사람이 있었다고 들린다. 무엇 때문에 농지를 비싸게 샀겠는가? 개발에 대한 사전정보가 없었다면 손해를 봐가면서, 대출을 통한 비싼 이자를 물어가면서 왜 농지를 구입했는지에 대한 철저한 전수 조사를 요구한다”고 밝혔다.


또, “특히 A씨는 2010년 6월 농지를 당시 금액 1억2천만원에 사들여구치소 추진과정에 3억8천만원에 팔면서 시세차익 2억 6천만원이 발생했다.”며, “그 농지에는 소나무가 빽빽이 심어져 있어 지장물 보상도 많이 받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 농지는 답(畓)이었고, 공무원이 답을 어떤 계획으로 샀는지, 그 과정에 특혜는 없었는지 밝혀져야 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거창의 공무원 및 선출직 의원들은 이런 짓을 했을 사람이 한명도 없었을 것을 희망하며. 정부에서 운영하는 투기전수조사를 거창에서도 실시할 것을 요구한다. 소문이 소문인지 아닌지 명명백백히 밝혀져야 군민들이 공무원들을 믿고 군정을 맡길 수 있지 않겠는가?”라고 했다.


“또, 거창군은 농지 거래시 비농민의 농지 매매와 관련하여 보다 철저한 관리와 감독을 할 것을 요구한다.”고 했다. 


이어, “공무원 및 선출직 의원들은 국책사업 및 각종 개발 사업의 과정에 있었던 농지의 거래과정에 대해 낱낱이 공개하고, 일말의 의혹이 없도록 철저한 조사가 될 수 있도록 조사에 임하고 만일 부정한 방법이 확인될 시, 그 책임을 다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거창인터넷뉴스원(gcinews1@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