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소득국민운동거창본부 창립준비위원회는 5월 27일 창립총회와 초청강연을 열고 기본소득국민운동거창본부(아래 거창본부)를 창립했다.
이날 총회에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확산을 막기 위해 거창본부 공동대표 등 임원과 시민 등 20여 명이 참석한 채 간소하게 치러졌다.
지난 2020년 12월 2일 기본소득국민운동본부가 정식 발족된데 이어 전국에서 연이어 출범이 이어지고 있는데, 거창은 경남 도내에서는 세 번째로 창립하게 됐다.
도내에서는 6월 중 산청, 하동, 창원, 양산 등 지역의 운동본부가 출범할 예정이다.
이번 창립총회에서는 거창본부 상임대표로 정연탁 안의한의원장이 선출됐고, 공동대표로 권순모 더불어민주당 거창군의회 의원, 최은진 씨가 각각 선출됐다.
정연탁 상임대표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모든 재화는 재벌에게 집중될 수밖에 없다. 그래서 재화가 그들에게 모이는 악순환이 반복될 수밖에 없다.”라며 “이것을 해결하는 것이 바로 기본소득이다. 이런 취지에 많은 분들이 함께 동참해주셨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거창본부 창립을 축하하기 위해 참석한 기본소득국민운동경남본부 상임대표인 더불어민주당 송순호 경상남도의회 의원은 “인류가 풀어야 할 과제 중 하나가 양극화인데, 양극화는 자본주의의 속성에 따라 격차를 더욱 벌리고 있다.”며, “생산율을 높아지는데 고용이 없어지는 미래가 다가오고 있다. 앞으로 우리 국민들이 최소한의 인간적인 삶을 누릴 수 있는 체제를 마련해야 한다. 이 운동이 확산돼 기본소득 정책이 도입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창립총회 이후 이어진 초청 강의에서 김세준 기본소득국민운동본부 상임대표는 “대한민국은 이미 2019년에 IT강국을 넘어 AI강국으로 가겠다고 선언했다. 이것은 시대적 흐름으로, 앞으로 일자리로 인한 어려움이 생긴다는 것.”이라며 “기본소득이 주어지지 않으면 참혹한 상황도 벌어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난해 우리나라는 보편적 재난지원금을 받았다. 이것도 일종의 기본소득으로, 우리는 못 느끼지만 다른 국가에서는 극찬하고 있다. 실제 재난지원금이 경제를 살렸다는 평가도 많다.”라면서 “막대한 세금이 들 것이라고 걱정하는데, 기본소득의 규모를 조정해 부담이 가지 않는 선에서 시작할 수도 있고, 스위스처럼 탄소세를 통해 마련할 수도, 경제주체가 소유한 토지의 토지세를 통해서도 마련할 수 있다. 기본소득을 창의적으로 해석한다면 여러 방안이 마련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거창인터넷뉴스원(gcinews1@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