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창군이 130여억 원의 예산을 들여 연차적으로 추진중인 위천천 생태하천조성사업 중 논란이 일었던 추가 가동보 설치와 관련해 지역 내 환경단체를 비롯한 시민사회단체들이 강력히 반발하고 나서 결과가 주목된다.
거창군은 이 사업과 관련 올해 1차로 거창시외버스터미널 밑 사래비보에 가동보를 설치한 상태이며, 앞으로 중앙교(2교) 위와 거창교(1교) 아래 두 곳에 추가로 가동보를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거창지역 시민단체인 ‘자연과 사람이 어울리는 위천천 만들기 주민대책위원회’에 따르면 1차 가동보 설치 이후 여러 문제점이 드러났으며, 지난 15일 2차 가동보 설치를 위해 포크레인으로 현장 강바닥을 긁어내던 중 이를 목격한 시민단체 관계자들이 극력 반발, 현재 공사가 중지된 상태라고 밝혔다.
이날 시민단체 관계자들은 연락을 받고 현장에 나온 거창군 건설과장에게 “1차 가동보 설치 이후 모든 관련 사업은 협의를 통해 해 나가기로 하지 않았나? 이렇게 사전에 아무 연락도 없이 기습적으로 사업을 하는 경우가 어딨나?”며 강력하게 항의했다.
시민사회단체 회원들이 강력히 항의하자 건설과장은 일단 공사를 중단하겠으며, 향후 재개 시 사전 협의를 통해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시민단체측에 따르면 애초 가동보 설치사업은 지역 시민단체 및 주민들도 극구 반대한 사업이며, 심지어 지난 2011년 11월 8일 열렸던 주민정책토론회에서 거창군 측 패널로 나온 전문가들조차 그 필요성을 전혀 인정하지 않았는데도 무리하게 강행했다는 주장이다.
게다가 강 지형과 유속, 물높이 등이 다른데도 불구하고 3개의 가동보 모두를 국내의 수많은 특허보유업체를 제쳐두고 한 업체와 수의계약한 것은 특혜라고 주장했다.
시민단체는 “더 큰 문제는 1차 가동보 설치 이후 나타난 여러 파괴적인 영향들인데, 제일 큰 문제점으로 나타난 사항이 수질 악화 등 자연환경 파괴이다. 정상적으로 흐르던 강물이 가동보 설치로 유속이 느려지면 보 상류 쪽 강바닥에는 심한 갈변층이 형성되어 청정 강의 이미지가 완전 파괴되었다. 또 1차 가동보 남단 부분은 선착장 같은 인공구조물로 인해 강의 자연미가 완전 파괴되었다는 지적이다. 무엇보다 가동보를 세우거나 눕히면 수량의 변동뿐만 아니라 유속이 급격하게 변해 가동보 주위에는 물고기 등 수중 생물이 살 수 없는 환경으로 변해 생명이 없는 죽음의 강이 된다는 점”이라고 주장했다.
다음으로, “강 접근성이 현저하게 떨어졌다는 점이다. 당초 이 사업의 목적 중 하나가 ‘친수공간 확보’인데도 역설적으로 깊은 수심으로 인해 올 여름 보 위쪽에서는 단 한 명도 수영을 즐기지 못했고, 겨울에는 썰매를 탈 수 없게 되었다는 지적이다. 이외에도 가동보 자체가 기계시설이라 위험성은 항상 남아 있다. 즉 거창군의 계획대로 연이어 세 개의 가동보를 설치했을 때 그 중 하나라도 고장나면 군민들의 인명과 재산에 미치는 피해는 재앙 수준”이라는 주장이다.
이와 관련해 시민단체의 한 관계자는 “지난 이명박 정부에서 추진한 4대강사업의 온갖 폐해들이 현재 명백하게 드러나고 있는데도 4대강사업의 축소판이라 할 사업이 청정 자연환경을 자랑하는 이곳 거창에서 버젓이 자행되고 있다. 강은 군수 개인이 조작할 수 있는 개인 소유물이 아니라 6만 군민의 강이자 앞으로 후손들에게 소중히 물려줘야 할 소중한 자산이다”며, “살아 있는 강을 죽은 강으로 만들 2, 3차 가동보는 기필코 막아내겠다”고 강조했다.
거창인터넷뉴스원(gcinews1@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