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는 8월 28일 도청에서 브리핑을 열고 교육부 ‘2024년 글로컬 본지정 대학’에 도내 국립창원대학교‧도립거창대학‧도립남해대학‧한국승강기대학교’, ‘인제대학교 총 5개대학이 선정됐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28일 ‘2024년 글로컬 본지정 대학’으로 전국 총 10개 대학(대학수 기준 17개교)을 선정했는데 이 중 5개 대학이 경남지역 대학이 선정돼 향후 교육 경쟁력 강화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앞서 교육부는 지날 4월 전국 비수도권 109개 대학 중 20개(대학수 기준 33개교)를 글로컬대학으로 예비 지정했으며, 이달 예비지정 대학의 본지정 실행계획에 대한 본지정 평가위원회 심사와 글로컬대학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글로컬대학을 최종 지정했다.

글로컬대학 최종 지정으로 5년간 ‘국립창원대‧경남도립거창대‧경남도립남해대‧한국승강기대’는 최대 2,000억 원(신청액 기준), 인제대는 최대 1,000억 원(신청액 기준)의 정부 지원금과 맞춤형 규제 특례를 우선 적용받게 된다.

경남도는 지난해 경상국립대 글로컬대학 지정에 이어, 올해 ‘국립창원대‧경남도립거창대‧경남도립남해대‧한국승강기대’와 ‘인제대’가 글로컬대학으로 지정됨에 따라 내년부터 본격 추진하는 경남 라이즈(RISE) 체계와 연계한 도내 3개 권역별 대학혁신 선도모델 육성과 지역인재 양성-취‧창업-정주에 이르는 선순환 체계 구축에 더욱 탄력을 받게 됐다.

한국승강기대학교는 국립창원대학교가 경남도립거창대학교·경남도립남해대학교와 통합하는 것과 달리 연합 형식으로 참여했는데, 이는 국립대와 사립대가 지역 대학의 위기 타개를 위해 함께 뜻을 모으는 형태로 올해 처음 제시된 모델이었다.

국립창원대학교·경남도립거창대학교·경남도립남해대학교(이상 통합)·한국승강기대학교(연합)는 글로컬대학 본지정에 앞서 ‘창원 국가산단의 미래를 선도하는 연구중심대학’을 혁신의 방향으로 제시하면서 ▪ DNA+ 특성화 고급인재 양성을 위한 글로컬첨단과학기술대학 운영 ▪ 국립창원대-한국전기연구원-한국재료연구원 연합 특성화과학원 설립 ▪ 국·공립대 통합 및 사립전문대 연합을 통한 DNA+ 기능 인재 양성 등의 내용을 주요 과제로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한국승강기대학교는 이들 주요 과제 가운데 ‘DNA+ 기능 인재 양성’ 분야에서 승강기 분야 특성화 유학생 유치와 ODA 등 글로벌 협력 사업에 집중해 지역 산업의 미래 발전에 기여하고 고급 기능 인재 양성에 힘쓸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한국승강기대학교 글로컬대학 준비단 관계자는 “지역 산업과 대학의 생존을 위해 국립과 사립의 경계를 허물기 위해 국립창원대학교와 연합 형식으로 참여하고 지역의 고급 인력 양성을 목표로 차별화된 혁신 과제를 제시한 것이 좋은 평가를 받게 돼 기쁘다”고 밝히며 “한국승강기대학교의 특성화 교육 인프라에 글로벌 협력과 유학생 기술 인재 양성 등의 가치를 더해 실효적이고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사업 수행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글로컬대학은 대학 내‧외부 벽을 허물고, 지역‧산업계 등과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대학-지역의 동반성장을 이끌어 갈 비수도권 대학을 집중 지원하는 사업으로, 지난해 10개에 이어 올해 10곳 등 2026년까지 총 30개 내외 대학을 지정할 계획이다. 
글로컬대학에 지정될 경우 1곳 당 5년 동안 약 1천억 원이 지원되며 규제혁신 우선 적용, 범부처‧지자체 투자 유도 등의 지원책도 마련돼 교육 경쟁력 강화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거창인터넷뉴스원(gcinews1@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