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립거창대학 전경)
▲도립거창대학, 항노화·바이오 특성화
▲도립남해대학, 항공제조·관광 2개 학부
도립대학과의 통합 모델을 제시한 창원국립대학교가 ‘글로컬대학’으로 최종 지정됨에 따라 도립대학과의 통합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다만, 통합 시기나 방법은 아직까지 확정되지 않아 대학 구성원과 지역주민 설득이 관건이 될 수 있다.
경남도와 국립창원대학교, 인제대학교, 도립거창대학, 도립남해대학 관계자는 8월 28일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글로컬대학 지정에 따른 합동브리핑을 가졌다.
교육부는 2024년 글로컬 본지정 대학에 △국립창원대·경남도립거창대·경남도립남해대·한국승강기대’ △인제대 등 경남 2개 모델을 포함해 총 10개 모델을 선정했다.
글로컬대학 최종 지정으로 향후 5년간 국립창원대 모델에는 최대 2000억원, 인제대에는 최대 1000억원의 정부지원금과 함께 맞춤형 규제 특례를 적용받게 된다.
국립창원대 등은 연구중심대학으로 재편하며, 방산(Defense), 원전(Nuclear), 자율스마트제조(Autonomous)에 데이터(Data), 네트워크(Network), 인공지능(AI) 전문 인재를 양성할 계획이다.
혁신 과제로 △글로컬첨단과학기술대학(GAST) 운영 △국립창원대-한국전기연구원-한국재료연구원 연합을 통한 경남창원특성화과학원(GCIST) 설립 △국·공립대 통합을 통한 지역 정주인재 양성 등을 추진한다.
이에 따라 도립거창대는 △항노화·바이오 △간호 △드론 분야를 특성화하고, 스마트 제조 분야를 추가로 특성화한다.
도립남해대는 △항공 제조 △관광 분야 등 2개 학부체제로 재편하고, 방산원전융합과 방산무기제조 분야를 추가로 특성화한다.
이날 브리핑해서 참석자들은 국공립대 통합 시기는 못박지 않았지만, 검토 중인 통합안 일부를 소개했다.
도립대학은 창원대 거창캠퍼스와 남해캠퍼스 체제로 재편되며, 각 캠퍼스는 부총장 체제로 총괄하게 될 것이라는 게 경남도의 설명이다.
또, 경남도 재산인 도립대학 부지와 건물은 국립창원대가 무상사용하는 형태가 될 전망이다.
교직원의 경우 앞서 국공립대 통합 사례를 감안해 일부는 국가 정원 내에서 국가직으로 전환하고, 일부는 지방직이지만 파견 형태로 고용을 유지하되 점진적으로 국가직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윤인국 경남도 교육청년국장은 “물리적으로 통합 시점을 정하지 않고, 상생하고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특성화할 계획”이라며 “통합에 따른 대학별 세부적인 특성화 분야와 세부 추진계획은 추후 대학 구성원과 지역주민 의견수렴을 거쳐 혁신 방안을 구체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윤 국장은 또 “창원대는 학사, 도립대는 전문학사 체제가 유지된다”며 “다만, 현행 고등교육법에는 전문학사와 학사를 동시에 배출하지 못해 교육부에서 법 개정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다.
김재구 거창대학 총장과 노영식 남해대학 총장도 학내구성원과 지역민과 논의를 진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경남도는 글로컬대학이 제시한 혁신과제 실행을 지원하기 위해 글로컬대학과 교육부, 지역 산업체별 이행 과제와 지원사항을 담은 ‘대도약 이행 협약’을 체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도는 시군과 함께 국내외 최고 수준의 교원 확보, 기업트랙, 계약학과, 프로젝트 기반 수업 등 혁신적인 교과과정 개발을 비롯해 우수 인재 양성을 위한 장학금과 연구비 등에 필요한 지방비도 지원할 계획이다.
거창인터넷뉴스원(gcinews1@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