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2개의 선거구로 돼 있는 거창지역 도의원 선거구가 하나로 줄어들 처지에 놓여, 현실화 될 경우 도의원 예비후보들에게는 혼란과 치열한 경쟁, 지역적으로는 정치적 영향이 반감될 전망이다.

 

오는 6. 4 지방선거에서 적용될 도의원 선거구 수는 인구 2만7,000명 당 하나가 기본조건으로, 군 단위의 경우 읍·면 행정단위를 분리할 수 없도록 돼 있다.

 

거창군의 경우 지난해 11월 말 기준 인구수는 총 6만3,108명으로, 이 중 거창읍이 4만168명, 나머지 11개 면 인구가 2만2,940명이다.

 

이 경우 거창읍은 한 선거구 조건을 충족하고도 1만3,168명이 남으나, 11개 면 인구는 2만7,000명에 크게 미달되는 실정이다.

 

그렇다면 조건을 충족하고 남은 거창읍의 한 부분을 나눠 11개 면에 합친다면 될 것 같으나 그럴 수 없도록 돼 있는게 문제다.

 

선거구 조건 결정은 도의회는 도 별로, 기초의회는 시·군·구별로 조례로 제정돼 있다.

 

그런데 도의원 선거구 기본조건인 인구 2만7,000명 당 하나에, 기본 행정단위 분구 불가능은 전국 도의원 선거구에 다 적용받고 있다.

 

거창보다 인구가 훨씬 적은 인근의 함양, 합천, 산청군은 현재 도의원 선거구가 하나 뿐이다.

 

현재 거창군의원 선거구는 지난 2010년 지방선거 때부터 중선거구가 되면서 마리·위천·북상 3개면은 인구부족으로 조건에 미달돼 거창읍 상동 일부를 떼다 붙이는 식으로 조건을 충족시켰다.

 

그러나 도의원 선거구는 도 조례에 의해 읍·면·동의 기본행정단위를 분리할 수 없도록 돼 있어 거창군이 영향을 받을 처지다.

 

현재 거창군의 경우 2개 도의원 선거구로, 2명의 도의원이 도의회 2개 상임위에 소속돼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도의원이 1명으로 줄어들 경우 도의회에서의 활동영역도 반감돼 예산확보 등 지역발전에 그만큼 손실도 예상된다.

 

특히, 도의원 출마를 꿈꾸는 예비후보들에는 큰 혼란이다.

선거구가 하나로 줄어들 경우 12개 읍·면이 한 선거구가 돼 광범위한 선거구 관리문제로 무소속 출마는 엄두도 낼 수 없는 실정이다.

그럴 경우 도의원은 새누리당 공천만 받으면 당선확률이 높아 공천경쟁은 더욱 치열할 전망이다.

 

현재 거창지역 도의원 선거구 문제 해결을 위해 신성범 지역국회의원이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를 상대로 해법을 찾고 있는데 이달 말 께 최종 결정될 전망이어서 결과가 주목된다.

한편, 현재 거창지역 도의원 예비후보의 경우 제1선거구(거창읍,마리,위천,북상면)에 조선제 거창군의회의장, 안철우 군의원, 김덕선 장애인협회 거창군지부장, 형남현 경남매일 기자가 새누리당 공천경쟁을 벌이고 있다.

또 제2선거구에는 변현성 현 도의원, 정순하 거창적십자병원 실장, 김일수 남상면 체육회 사무국장, 황문현 전 거창군수비서가 새누리당 공천경쟁을 벌이며, 김채옥 상산테크노 대표가 무소속으로 출마를 준비중이다. 

 

 

            거창인터넷뉴스원(gcinews1@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