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창군이 농민들의 영농편의를 위해 제공하는 농기계 지원사업이 특정업체에 편중돼 해당 업체를 위한 공무원의 자료제공 의혹과 함께, 이 때문에 농민들이 농기계 구입시 손해를 본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같은 사실은 30일 거창군의회의 거창군농업기술센터에 대한 행정사무감사에서 무소속 이홍희 의원에 의해 밝혀졌다.


이 의원에 따르면 올해 거창군의 농기계 지원사업은 보행형 관리기 393대, 충전식 분무기 66대, 운반차 66대, 다목적 살포기 62대다.


이들 4개 분야 농기계에 대해 농민들이 선정한 농기계 업체는 보행형 관리기에 3개 업체, 충전식 분무기 3개 업체, 운반차 7개 업체, 다목적 살포기 5개 업체다.


그런데 농기계 공급대수를 보면 보행형 관리기는 총 198대 중 A사가 135대, 충전식 분무기는 66대 중 L사가 63대, 운반차는 66대 중 L사가 27대, A사가 22대, 다목적 살포기는 62대 중 L사가 43대 등 특정업체에 편중돼 있다.


이처럼 특정업체의 농기계 공급편중에 대해 이 의원은 “관계 공무원이 농기계 구입을 신청한 농민들의 명단을 특정업체에 제공해 판촉한 결과”라며, “농기계 구입을 신청한 농민들이 해당 업체로부터 판촉 전화를 받았다고 하는데 명단을 제공한 사실이 있느냐”고 따졌다.


이어, 특정업체가 농기계 공급을 독점하다 보니 농민들이 좀 저렴한 농기계를 사려해도 값싼 것은 없다며 비싼 농기계를 사도록 해 경제적 부담을 주는 독점의 문제점 사례를 들기도 했다.


이에 대해 관계 공무원은 “농기계 지원사업을 위해 매년 8월 읍․면에 수요조사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일부 신청자의 정보가 유출될 수도 있는데 통째로 명단을 해당 업체에 제공치는 않았다”며, “농기계 구입은 농민들이 자의적으로 구입하고 있다”고 답했다.

 

 


거창인터넷뉴스원(gcinews1@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