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청·함양·거창’ 국회의원 선거구가 인구 기준일 문제로 독립선거구 지위를 위협받고 있다.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는 지난달 말 여야 간사 잠정 합의에서 국회의원 선거구 획정기준의 하나인 인구기준일을 7월 말로 정했다.


그러나 새누리당 의원총회에서 정개특위 여야 간사 합의 추인이 불발돼 합의안 전체가 백지화되고 협상이 9월로 접어들면서 여당 경북지역 의원들이 ‘인구기준일을 8월 말로 정하자’고 요구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현행 지역구수 246개를 유지한다는 전제에서 7월 말을 인구기준일로 정할 경우 선거구별 인구하한선은 13만9426명이다.


그러나 8월 말을 기준으로 하면 13만9473명이 된다.
차이가 47명이지만 인구 유입·유출 현황에 따라 지역구 운영이 달라진다.


대표적인 곳이 산청·함양·거창(신성범 의원), 강원도 속초·고성·양양(새누리 정문헌 의원), 부산 중·동구(정의화 국회의장) 등 3곳이다.


산청·함양·거창의 경우 7월 말을 기준으로 하면 인구수가 13만9431명으로 하한선을 5명 초과해 지금처럼 독립 선거구가 되지만 8월 말을 기준으로 하면 인구수가 13만9437명으로 하한선에 36명 미달해 조정대상이 된다.


반면에 혁신도시로 지정돼 최근 인구 유입 속도가 빠른 경북 김천시(새누리 이철우 의원)의 경우 7월 말 기준으로는 인구수가 13만8278명으로 하한선에 미치지 못해 조정대상이지만 8월을 적용하면 독립 선거구가 된다.


특히 김천의 결정에 따라 인근 상주, 문경·예천, 영주 등도 영향을 받는다.


이 때문에 여당에서 인구기준을 7월 말로 하자는 측과 8월 말로 하자는 측의 물밑신경전이 치열하다.


하지만 당초 8월 13일까지 국회가 획정기준을 마련해줄 것을 요구했던 선거구획정위는 이미 자체 획정 작업에 착수하면서 당초 인구기준일로 정해뒀던 7월 말을 인구산정일로 하는 게 타당하다는 입장이다.


최근 지방 순회방문 때도 7월 말 기준으로 통폐합될 지역들을 선정했다.


한편, ‘산청·함양·거창’선거구가 통·폐합될 경우 ‘의령·함안·합천’선거구를 쪼개 ‘의령·함안’을 ‘밀양·창녕’과 통합해 ‘밀양·창녕·의령·함안’으로 선거구를 만들고 ‘산청·함양·거창’에는 ‘합천’을 붙여 ‘산청·함양·거창·합천’선거구로 획정할 것이라는 얘기가 정가 주변에서 나오고 있다.


이렇게 될 경우 경남은 ‘의령·함안·합천’이 공중분해되지만 양산 분구가 예상돼 의석은 현행 대로 16석을 유지하게 된다.
 

이에 대해  ‘산청·함양·거창’ 선거구 신성범 국회의원은 “인구기준일은 애초 정개특위 여야 간사 간 합의안인 7월 말 기준으로 되는 것이 당연하고, 선거구획정위에서도 그 기준으로 순회방문 지역을 정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만약 일각에서 인구기준일을 8월 말로 바꾸려 시도한다면 절대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혀 결과가 주목된다.

 

 

거창인터넷뉴스원(gcinews1@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