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회원가입
기사
검색
2024-5-15(수) 전체기사  | 사회 | 정치·의회 | 경제 | 교육 | 문화예술 | 레저스포츠 | 자치행정 | 건강·생활 | 사람들 | 동영상·포토뉴스 | 칼럼 | 투고 |
로그인
로그인  |  회원가입
발행인 인사말
뉴스 카테고리
인물·동정
알림방
광고
고시·공고
쉼터
타로카드
띠별운세
오늘의일진
꿈해몽
무료운세
생활 검색
거창날씨
네이버지도검색
신주소검색
사이트 링크
거창군청
거창경찰서
거창교육청
거창세무서
거창우체국
후원하기
농협
3511322668903
거창인터넷뉴스원


여러분의 후원이
거창인터넷뉴스원
에 큰 힘이 됩니다.
    
뉴스 > 투고 기사입력 : 2013/03/06
(기고문)거창의 과거사와 친일청산
거창역사 바로세우기

근대화의 진전을 통해 나라 안팎으로 더 큰 발전을 이루려던 대한제국이 불행하게도 제국주의 침탈야욕으로 무장한 일본의 침략으로 인해 우리의 주권을 저들과 저들의 침략 야욕에 놀아난 간악한 친일파 매국노들의 모략으로 강탈당한 가슴 아픈 역사가 일어난 지 햇수로 꼭 103년을 맞고 있다.

 

 

최근 우리사회에서는 친일파를 비롯한 오욕의 역사에 대한 청산작업이 본격화되고 있다.

 

 

1949년 반민특위 해체 이후 최근까지 사실상 금기의 영역으로 남아있었던 친일문제가 이제 국민적 공감대를 바탕으로 시급히 해결해야 할 시대적 과제로 부상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역사적 결과물로 작년 11월 민족문제연구소에서‘친일인명사전’이 발간되었다.

 

 

'친일인명사전’ 은 일제강점기 역사청산을 민간에서 주도하고 관련분야 전문 연구자들의 수년에 걸친 노력의 결과로 만들어진 친일파 청산작업의 첫 신호탄 이었다.

 

 

정부 예산이 삭감된 상태에서 시민들의 자발적인 후원금과 제보, 가족이나 은사를 친일파 명단에 포함시키는 아픔을 감수하면서까지 연구자들의 객관적이고 철두철미한 역사의식이 험로를 헤쳐온 힘이 된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와는 달리 우리가 살고 있는 지역사회의 친일 청산작업은 더욱 힘든 작업이 될 것이 틀림이 없다.

 

 

우선 지역사회의 경우 혈연, 학연 등 각양각색의 연고관계로 중첩되어 있어 상당한 저항과 압력이 있을 것이 자명하다.

 

 

연구자의 절실한 사명감과 용기를 필요로 하는 대목이다.

 

 

다음으로 증언에 비해 객관적 사실을 증명해줄 근거자료가 극히 희소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지역에서 발간된 시(市)지. 군(郡)지와 같은 역사책과 각종 사료 등 기존의 자료는 집필자의 주관적 판단으로 역사적 사실이 왜곡되어 있는 경우가 있고, 그 외 지방기관 혹은 단체의 자료는 접근에 제약이 따른다.

 

 

향토사는 지역사일뿐 아니라 민족사의 기초를 구성하는 구체적인 경험의 역사로 볼 수 있다.

 

 

민족 내부와 화해와 통일의 토대 구축에 향토사 그 중에서도 근현대 부문에 대한 진실규명과 상호이해는 불가피한 전제조건으로 다가와 있다.

 

 

우리 거창지역은 구한말부터 일제강점기에 수많은 애국지사들이 분연히 일어나 나라를 되찾자고 일제에 항거한 민족운동의 본 고장이었다.

 

 

1896년 안의에서 신암 노응규(盧應奎) 선생의 을미의병 봉기, 1906년 북상 월성의병의 봉기, 1910년 한일강제병합때 순절한 애국지사들, 1919년의 3.1 운동과 면우 곽종석 선생이 주도해서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만국평화회의에 독립청원서를 보내 세계만방에 공포한‘파리장서운동(유림단 독립청원사건)의 산실이기도 하였다.

 

 

하지만 일부 향토사가들의 편협한 역사의식으로 친일파와 친일 관련 역사가 왜곡돼 있는 것으로 밝혀져 거창지역 향토사 연구에 올바른 조명이 요구되고 있다.

 

 

일제강점기 거창에는 행정관료. 경찰. 문화. 종교 부문에서 상당수의 친일인사들이 활동하였고 연고지를 가지고 있다.

 

 

이들중에는 실제‘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된 인물도 있다.

 

 

거창과 관련된 대표적인 친일인사는 조선총독부 중추원 참의를 역임한 정태균(鄭泰均)이다.

 

 

동계 정온선생의 후손인 정태균은 대한제국 시기 궁내부 비서원승을 역임한 고위관료로 1909년 당시 안의군 북상에서 의병이 봉기하였을 때 이를 진압하기 위하여 위천면에 일본군 수비대가 파견되자 이들에게 주택을 개방하고 막사를 제공하여 의병토벌에 협력하였고 이러한 공로로 1935년 조선총독으로부터 ‘시정 25주년 기념표창장’을 수여받았다.

 

 

당시 지역에서 상당한 영향력이 있었던 정태균은 학교를 설립하고 거창자동차 주식회사라는 기업도 운영하였고, 또한 경상남도 평의회 의원으로 활동하면서 일제의 정책.홍보에 협조하였다.

 

 

1927년에는 도지사의 추천으로 당시 조선총독부의 자문기관인 중추원 참의(주임관)에 임용돼 활동하면서 총독부의 정책 자문 대변자로 활동하였다.

 

 

이러한 친일행적으로 1949년 친일반민족행위 특별조사위원회에 송치되었지만 반민특위 해체로 처벌도 받지않고 석방되었다.

 

 

2002년 광복회와 국회 내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 모임'에서 발표한‘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과 2009년 발간된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에 정태균의 친일행적이 자세히 나와있다.

 

 

그는 1964년 작고할때까지 거창군에서 지역유지로 대접받으며 영향력을 행사하였고 아직도 후손들은 위천면에 거주하고 있다.

 

 

하지만 거창역사를 소개하는 책들과 자료에는 정태균이 독립운동가로 기록돼 있고 일부 지역주민들 사이에도 학교를 설립하고 교육계몽운동에 헌신한 인물로 평가되고 있다.

 

 

일제강점기에 지방행정의 최일선에서 일본의 식민지배정책을 직접 수행한것은 지방의 군수와 이들을 수행한 관료층들이었다.

 

 

이 시기 거창군수를 역임했던 자들 대부분은 대한제국의 지방관료 출신으로 한일병합시 일제에 협조한 대가로 1910년 조선총독부 개설과 함께 전원이 현임지에서 총독부 군수로 다시 임용되었다.

 

 

하지만 그것은 전혀 이상한 일이 아니었다.

 

 

당시 대한제국의 13도 관찰사와 360명의 지방 군수들 중 일제에 저항하여 사표를 던지고 나온 사람이 과연 몇 명이나 되었을까 ?

 

 

이들 총독부 군수는 군참사(郡參事)라는 자문기관을 2명씩 두었는데 이들 참사는 전원이 그 군의 유력자이며, 하급 지방단체였던 읍.면의 장들은 주민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서 지역행정을 맡은 주체였기 때문에 지역의 유지들과 지역 출신으로 군수를 역임하다가 퇴직한 자들을 다시 읍.면장으로 임명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런 경우는 조선총독부 초기의 인사방침이 연고지 배치제였기 때문에, 고향에서 군수를 하다가 다시 참사. 읍. 면장으로 옮겨 않는 경우가 흔히 있었다.

 

 

이 같은 예는 거창출신으로 1911년 거창군수를 역임한 유상범(兪相範)을 통해서 확인할수 있다.

 

 

유상범은 1894년에 농상공부 주사를 시작으로 대한제국 말기에 관리로 근무했으며 통신국에서 우편 관련 업무를 담당하였다.

 

 

1899년에 일본으로 유학해 나가사키 상업학교에 입학하여 신학문을 공부했고, 1901년에는 나가사키 세관에서 견습으로 실무를 익혔다.

 

 

귀국 후 탁지부 번역관으로 근무하였고, 탁지부 재무서 소속의 대구재무감독국 울산재무서에서 주사로 근무하기도 했다.

 

 

한일병합조약이 체결된 이듬해인 1911년에 조선총독부 군수로 발탁되어 경상남도 거창군 군수가 되었다.

 

 

거창군수를 거쳐 통영군과 사천군, 하동군 군수를 지냈으며, 퇴관 후에는 거창에서 거창면장을 맡아 이 지역 유지로 활동했다.

 

 

한편 당시 경찰조직은 일제 식민지 지배의 선봉에 섰던 상징적 존재들이다.

 

 

특히 일제에 의해 식민통치의 말단집행요원인 경찰로 충원된 조선인 친일경찰들은 위에서 말단에 이르기까지 일제의 앞잡이가 되어 동족을 체포, 고문, 학살하는 악질적인 행위를 거리낌없이 저질렀다.

 

 

강사영, 김재영, 변성규 등은 이 시기 거창경찰서 고등계 경찰로 근무하면서 독립운동가들을 탄압하는데 앞장을 섰고, 일부 친일 경찰간부들도 해방이후 미군정과 이승만 정부의 비호아래 다시 경찰직에 복귀하였다.

 

 

대표적인 예로 일제 고등계 경찰출신인 장자관을 들수있다.

 

 

그는 해방이후 초대 거창경찰서장과 경남경찰국장을 역임했던 자이다.

 

 

특히 수많은 애국지사를 고문하고 살상한 악질 친일 고등경찰의 대명사‘노덕술' 이 거창경찰서에서 경부보로 근무한 사실이 있다.

 

 

문화.종교계의 지식인계층도 친일에는 예외가 없었다.

 

 

일제 말기 태평양전쟁이 시작될 무렵에는 유명 미술가들 중에 일제의 전시체제에 맞추어 전쟁동원 분위기를 조성하는 그림을 그리는 친일 미술인들이 대거 등장했다.

 

 

이중에 거창출신의 미술가 정종여(鄭鍾汝)는 '조선미술전람회' 에 일본군 수송선을 그려 출품하고, 일본의 태평양전쟁 선동을 위한 미술전인 '결전미술전람회'에 <상재전장>(常在戰場)을 출품하여 특선을 받았다.

 

 

1945년에는 태평양전쟁 출정자와 입영자에게 <수호 관음불상> 1000매를 헌납하는 등 일제의 전쟁정책에 협력하였다.

 

 

또한 거창교회 목사출신인 김길창(金吉昌)은 일제강점기 신사참배에 적극적으로 앞장서고 1933∼1934년 조선기독교연합회 회장과 1941년 이후 기독교 황민화운동 추진단체의 수뇌로 활약한 거물급 친일 목사이다.

 

 

비록 친일파로 분류되지는 않았지만 일제말기 읍.면장.서기 등 지방의 하급관료들과 토호세력들은 서로 결탁하여 민중을 수탈하고 일제의 정책에 협력하여 '호의호식'을 누리던 자들이다.

 

 

이들은 당시 지역행정의 실무를 담당하는 주체였기 때문에 일제 식민경영에 따른 각종 전쟁물자수탈, 강제징용과 정신대 동원, 정책홍보 등 일제 총독부의 보조집행자 역할을 했다.

 

 

물론 일부이기는 하지만 이들의 친일행적도 언젠가는 밝혀질것이고 결코 그냥 넘어가서는 안된다.

 

 

더욱이 지방사회에서는 이들의 후손들이 아직도 ‘지역유지’를 자처하며 행정관료와 유착하여 정치.사회적 위세가 여전하다.

 

 

그러나 어떤 기준으로 누구를 친일파로 규정할 것인지조차 쉽지 않은 문제가 발생할수 있어 지역사회에서 친일파에 대한 평가가 달라 향토사학자들이 친일파 연구를 하는데는 분명히 한계가 있을 것이다.

 

 

하지만 친일파 문제는 결코 수혜 차원의 문제가 될 수 없으며 거창의 정체성과 왜곡된 역사를 바로 잡는 중요한 일이다.

 

 

지금까지 거창의 역사는 문중세력과 결탁한 일부 향토사가들의 주관적 연구로‘지역의 역사’가 아닌 특정 가문과 인물을 중심으로한 '문중사’로 변질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친일파를 독립운동가로 둔갑시키고, 특정 인물의 친일행적을 삭제하는 등 상대적으로 근현대사와 항일독립운동은 축소. 왜곡되었다.

 

 

해방이후 많은 친일인사들이 역사적으로 단죄를 받았지만 아직 지역에서의 친일청산은 일부 기득권세력과 특정 문중의 반발로 이루어지지 않고있다.

 

 

친일파에 대한 연구가 늦어질수록 잘못된 과거 청산은 물론 지역사를 제대로 조명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다.

 

 

이제는 지역의 의식있는 연구자들과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바탕으로 거창의 묻혀진 역사, 왜곡되고 감추어진 부끄러운 역사를 과감히 발굴하여 온전한 지역의 역사로 복원해야만 한다.

 

 

시대가 요청하는 이러한 과제는 연구자들의 몫이기도 하지만 일차적으로 지역의 성원인 시민들이 역사적 소명의식을 가지고 추진해야 할 일일 것이다.

 

 

                 조재원 (바른역사를 생각하는 거창시민)


   
 
 

 


후원계좌 : 농협 3511322668903 거창인터넷뉴스원
 

(명칭)인터넷신문/(등록번호)경남 아00210/(등록연월일)2013. 1. 17/
(제호)거창인터넷뉴스원 / (발행.편집인)우영흠/(전화)055-945-5110/
(발행소)경남 거창군 거창읍 상동1길 45 상가1층 / (발행연월일)2013. 1. 24
(청소년보호책임자) 우영흠/E-mail : gcinews1@hanmail.net
copyright ⓒ 2013 거창인터넷뉴스원 All Rights Reserved